본문 바로가기

Financial Story/글로벌 경제

미국 중앙은행, 연준의 자산 규모 (FED Balance Sheet)

반응형

 

● 연방준비제도 (FED, Federal Reserve System, 聯邦準備制度)

- 미국의 중앙은행

- 1913년 12월 23일 미 의회를 통과한 연방준비법(Federal Reserve Act)에 의해 설립

 

- 연준의 주요 기능

  • 달러화 (USD) 발행 → 달러화가 세계 기축통화 이므로, 미국 및 세계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 미국 내 주요 통화정책 관장, 은행 및 금융 기관 감독과 규제
  • 연준의 도구들
    1. 지급준비 (Reserve Requirement)
    2. 연방 기준 금리 (Fed Funds Rate), 콜 금리 라고도 함
    3. 초과 지급준비 이자율 (Interest on Reserves)
    4. 역환매조건부 약정 (Reserve Repos) : 연준이 시중은행으로 부터 돈을 1일 빌리고 빌린돈에 대한 이자 지급
    5. 위탁보증금 (Margin Requirements) : 투자를 위한 대출 시, 일정 마진을 담보로 위탁하는 것
    6. 공개 시장 운영 (Open Market Operations) : 연준이 증권 등을 일반 공개시장에서 직접 거래 하는 것으로 주로 MBS나 미국 국채를 구입할 때 사용함
    7. 할인창구 (Discount Window) : 상업 은행들이 지급준비율에 맞출 수 있도록 은행들에게 돈을 대출해주는 것. 연준의 할인율은 기준금리보다 높기 때문에 보통 은행들은 다른 은행에서 자금을 빌리지 못할 경우에 사용하게 되고, 따라서 연준은 긴급 상황에서만 이 방법을 사용한다.
    8. 할인율 (Discount Rate) : 위 7번, Discount window를 통해 은행에게 돈을 대출할 때 부과하는 이자율. 기준금리보다 높음
    9. Money Supply : M1-현금과 보통 예금(현금, 통화) / M2 - M1+보통예금, 정기예금, 단기 투자신탁(CD) 등
    10. Fed's Alphabet Soup
    11. Monetary Policy Report : 연준에서 금융정책을 국회에 보고하는 보고서 (연 2회 발간)
    12. Beige Book : 미국 12개 각 지역 연방 준비은행들이 연방 공개시장 위원회(FOMC)에 제출하는 경제 분석 보고서로 경제 선행지표로 활용됨.

 

- 구조 : 대통령이 임명하고 상원이 승인한 이사 7명으로 이루어진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에 의해 운영되고, 정부로부터 철저한 독립성을 보장받고 있다.

* 이사회 (FRB;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Federal Reserve Board) : 임기 14년, 재임 불가, 2년마다 1명씩 교체
* 의장 (2021년 현재) : 제롬 파월 (Jerome Hayden Powell) - 2012. 5. 25~2028. 1. 31 이사 / 2018. 2. 5 의장~ (2022. 2. 5 의장 임기 종료)

 

- 역대 연준 의장

  이름 재임 기간 특이 사항
1 찰스 섬너 할린
Charles Sumner Hamlin
1914. 8. 10 ~ 1916. 8. 9  
2 윌리엄 하딩
Warren Gamaliel Harding
1916. 8. 10 ~ 1922. 8. 9 대통령 워런 하딩과 동시대 재임
3 대니얼 크리싱어
Daniel Richard Crissinger
1923. 5. 1 ~ 1927. 9. 15  
4 로이 영
Roy A. Young
1927. 10. 4 ~ 1930. 8. 31 1929년 세계 대공황
5 유진 메이어
Eugene Isaac Meyer
1930. 9. 6 ~ 1933. 5. 10  
6 유진 로버트 블랙
Eugene Robert Black
1933. 5. 19 ~ 1934. 8. 15 건강문제로 1년만에 사퇴
7 매리너 애클스
Marriner S. Eccles
1934. 11. 15 ~ 1948. 2. 3 브레튼우즈 체제, 프랭클린 루즈벨트에 의해 13년간 재임
8 토머스 매카비
Thomas B. McCabe
1948. 4. 15 ~ 1951. 4. 2 1951년 재무부와 연준간의 합의 성취
9 윌리엄 마틴 주니어
William McChesney Martin Jr.
1951. 4. 2 ~ 1970. 2. 1 19년 재임
10 아서 번즈
Arthur F. Bunce
1970. 2. 1 ~ 1978. 1. 31 1971년 닉슨 쇼크, 8년 재임
11 조지 윌리엄 밀러
George William Miller
1978. 3. 8 ~ 1979. 8. 6 인플레이션 방치, 퇴임 직후 재무부 장관 역임
12 폴 볼커
Paul Volcker
1979. 8. 6 ~ 1987. 8. 11 인플레이션 방지 정책, 8년 재임
13 앨런 그린스펀
Alan Greenspan
1987. 8. 11 ~ 2006. 1. 31 골디락스 호황, 18년 재임
14 벤 버냉키
Ben Shalom Bernanke
2006. 2. 1 ~ 2014. 1. 31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세계 금융위기, 양적완화 정책
15 재닛 옐런
Janet Louise Yellen
2014. 2. 1 ~ 2018. 1. 31 첫 여성의장, 연임 실패
16 제롬 파월
Jerome Hayden Powell
2018. 2. 1 ~ 현재 도널드 트럼프 지명

 

연준과 12개 지역 연방준비은행 (Federal Reserve Bank) - 출처 : 위키피디아

 

 

 

● 양적 완화 (QE, Quantitative Easing, 量的緩和)

- 중앙은행이 통화를 시중에 직접 공급해 경기를 부양하는 적극적인 통화정책. 금리 인하를 통한 경기부양 효과가 한계에 다다랐을 때 중앙은행이 국채 매입 등을 통해 유동성을 시중에 직접 푸는 정책을 뜻한다. 신용경색을 해소하고 자국의 통화가치를 하락시켜 수출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주목적이다.

- 중앙은행의 화폐 발행력을 기반으로 시중의 국채를 매입하여 중앙은행의 자산규모(대차대조표 규모)가 대폭 늘어나는 것이 특징

- 양적 완화(QE)의 효과, 긍정적 측면 : 저금리 국가에서 경기 부양을 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 시장에 강제적인 통화 유동성이 공급되며 실물 경제의 통화 유통 속도가 높아지고 기업의 투자를 도모하여 선순환 도모

- 양적 완화(QE)의 위험성 : 자국 통화 가치 약세와 지나친 인플레이션 초래로 인한 거품 경제

 

 

- 미국의 양적 완화 (참고 : 벤 버냉키)

  • QE1, 2008년 11월 ~ 2010년 3월 : 1조 7000억 달러, 부동산 시장 방어위한 국채와 모기지 채권 매입
  • QE2, 2010년 11월 ~ 2011년 6월 : 6000억 달러, 국채 매입
  •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2011년 9월 ~ 2012년 12월 : 6670억 달러, 장기 국채 매입, 3년 미만 단기 국채 매각
  • QE3, 2012년 9월 ~ 2013년 12월 (2014년 10월) : 1조 2800억 달러, 국채와 모기지 채권 매입
  • 특이사항 : 2014년 10월 29일 양적 완화 실질적 중단 → 주가 하락
  • 2020년 3월 23일 ~ 현재 : 무제한 양적완화 발표

 

미국 양적완화 - 출처 : 세계일보

 

 

- 유럽의 양적 완화

  • 2012년 : 유럽중앙은행이 유로화 위기에 따라 마리오드라기(Mario Draghi) 총재 취임 후 강력한 정책 실시
    • 미국과 달리 무제한 양적완화를 처음부터 공급
    • 유로존 국가의 국채를 무제한 매입
    • 처음 6개월 시한부로 시작했으나, 2016년 6월 ECB 통화정책 회의 때 기한 자체를 삭제 후 무기한 실시 중
  • 2016년 3월 : 마이너스 금리(-0.25%)로 기준금리를 관리하며 양적완화 병행 중

 

- 한국의 양적 완화

  • 2020년 3월 26일 : 대한민국 최초의 양적 완화. COVID-19 여파로 한국은행이 무제한 유동성 공급 선언 

 

- 일본의 양적 완화

  • 1990년대 자산버블 현상 여파와 고령화 현상 심화로 일본 경제는 심각한 디플레이션 현상에 빠졌고, 일본은행은 1999년까지 제로금리 정책을 단행했으나 디플레이션을 해소하지 못해 2000년대 이후 중앙은행이 자산 매입을 통해 유동성을 공급하는 통화정책이 부각됨
  • 2001년 ~ 2006년 : 0%대 물가상승률로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5년간 양적 금융완화 시행 → 효과 有
  • 2010년 ~ 2013년 : 101조엔 채권 매입(2010~2011), 80조엔 자산 매입(2013)
  • 2013년 4월 : 2% 물가상승률을 목표로 무제한 양적완화 발표 - 아베노믹스

 

QE - 출처 : BusinessDay (businesslive.co.za)

 

 

 

● 테이퍼링 (Tapering)

- 중앙은행이 경제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취했던 양적 완화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나가는 출구전략으로 테이퍼링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신흥국에서 달러 자금이 빠져나가 일부 국가의 경우 외환위기를 당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테이퍼링은 ‘점점 가늘어지다’, ‘끝이 뾰족해지다’라는 뜻으로 2013년 5월 23일 당시 벤 버냉키 미 중앙은행(Fed) 의장이 언급하면서 유명세를 탔다. 테이퍼링은 버냉키 의장이 사용한 것으로 같은 긴축이면서도 금리 인상을 의미하는 "타이트닝(tightening)"과 달리 양적완화 정책 속에 자산 매입 규모를 줄여나가는 방식을 이른다.

 

 

 

● 연준의 대차대조표 이해 (FED's Balance Sheet Report)

 

- 연준은 연준의 자산과 부채 상태 정보를 공개하는 명세서 밸런스 시트, 즉 대차대조표(Balance Sheet Report, H.4.1)를 발행한다. 다른 대차대조표와 마찬가지로 연준의 대차대조표는 자산과 부채로 구성되고, 12개 지역 연방 준비 은행 모두의 상태에 대한 통합 명세서(consolidated statement of the condition of all 12 regional Federal Reserve Banks)도 제공한다.

 

- 연준의 대차대조표 (Fed's balance sheet report)는 시장 운영 범위와 규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금융 위기에 대응하여 양적완화를 시작한 2007년 위기 이래, 많은 분석가들이 연준의 통화 정책 실행에 대한 세부 사항을 연준의 대차대조표 (Fed's balance sheet report)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COVID-19 이후 경제 위기를 타계하기 위한 초단기간 무제한 양적완화 조치들로 인해, 연준의 자산 규모가 2020년 3월 17일, 4.7조 달러($4.7 trillion, 한화 5248조원) 에서, 1년 만인 2021년 3월 17일, 7.69조 달러 ($7.69 trillion, 한화 약 8600조원) 이상으로 증가했다.

 

연준의 대차대조표 (Fed's balance sheet, 2004년 ~ 현재)

 

 

 

연준의 자산 (The Fed's Assets)

주로 국채(government securities)와 지역은행으로 확장되는 대출(Loans)로 구성되며, 기타 부채에는 회원 은행 및 미국 예금 기관의 준비금 계좌에 있는 돈이 포함된다. 대차대조표의 본질은 연준이 돈을 지불해야 하는 모든 것이 연준의 자산이 되기 때문에 다른 대차대조표와 유사하다. 연준이 새로 발행된 돈을 통해 시중에서 채권이나 주식을 (가상적으로) 매수한다면 그 투자는 연준의 자산이 된다.

 

▷ 국채 (Treasury Securities)

전통적으로 연준의 자산은 주로 미국 국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1년 3월 17일 기준, 7.69조 달러 ($7.69 trillion, 한화 약 8600조원)인 연준의 자산60% 이상인 5조 달러 ($5 trillion, 한화 5580조원) 규모가 주로 미국 국채에 해당된다. 국채는 만기일이 2년~10년 사이인 국채와 4주, 8주, 13주, 26주, 52주와 같은 단기 만기가 있는 어음(T-bills)이 포함된다.

 

주택 담보 채권 (MBS, Mortgage-Backed Securities)

연준의 중요한 자산에는 주택융자로 구성된 주택 담보 채권 (모기지 담보 증권, MBS)가 포함된다. 2021년 3월 17일 기준, 2조 달러 ($2 trillion, 한화 2230조원) 규모의 주택 담보 채권(MBS)를 보유하고 있다.

 

▷ 대출 (Loans)

연준의 자산에는 연준의 할인창구(Fed's discuount window)* 를 통해 회원은행으로 확장된 대출도 포함되며, 연준의 할인창구에서 은행이 차입할 때 부과되는 이자율을 연방할인율 (federal discount rate) 이라고 한다. 연준이 할인창구를 통해 채권을 매입하거나 대출을 연장할 때, 회계 또는 장부에 입력하고 회원 은행의 준비금 계좌 (reserve account) 에 입금하여 지불하는데, 회원은행이 준비금 잔고를 현금으로 전환하고자 할 때 연준이 달러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연준의 자산에는 공개 시장 운영 (OMO, Open Market Operations)**을 통해 구매한 유가 증권과, 나중에 은행으로 부터 상환될 확장된 대출이 포함된다. 공개 시장 운영은 연준이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채권을 매매하는 시기를 의미하고, 연준이 채권을 사거나 팔거나 중앙 은행은 미국 경제의 통화 공급에 영향을 미친다.

* Discuount Window : 상업 은행들이 지급준비율에 맞출 수 있도록 은행들에게 돈을 대출해주는 것. 연준의 할인율은 기준금리보다 높기 때문에 보통 은행들은 다른 은행에서 자금을 빌리지 못할 경우에 사용하게 되고, 따라서 연준은 긴급 상황에서만 이 방법을 사용한다.
** 공개 시장 운영 (Open Market Operations) : 연준이 증권 등을 일반 공개시장에서 직접 거래 하는 것

 

 

연준의 부채 (Fed's Liabilities)

연준의 부채와 관련해 흥미로운 사항 중 하나는 우리가 보유한 주머니 속에 있는 화폐(the green dollar bills in your pocket)와 같이 시중에 유통 되는 통화가 부채로 반영된다는 점이다. 이 외에도 회원 은행 및 미국 예금 기관의 준비금 계좌에 있는 돈도 연준의 부채에 포함된다. 달러화는 연준에 속해 있는 한 자산이나 부채로 취급되지 않으며, 연준이 자산을 구매하여 유통시킬 때만 연준의 부채가 된다.

 

2021년 3월 17일 기준, 약 7.65조 달러 ($7.65 trillion, 한화 약 8541조원)연준의 부채 중 화폐(시중에 유통되는 달러화)는 2조 달러 ($2 trillion, 한화 2233조원)가 조금 넘으며, 대차대조표상 예금으로 $5.3조 달러($5.3 trillion, 한화 5917조원)를 보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준의 부채 규모는 연준이 자산을 사거나 팔 때마다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또한 연준은 상업 은행이 준비금으로 알려진 특정 최소 금액의 예금을 보유하도록 요구한다. 준비금 비율은 상업 은행이 대출이나 투자가 아닌 실제 보유해야 하는 금액인데, 2020년 3월 26일부터 0%로 설정되어 있다.

 

 

연준의 총 자산 : 매주 수요일 집계 (Fed's balance sheet, 2004년 ~ 현재)

 

- 2021년 6월 2일 수요일 기준, 연준의 총자산은 7.94조 달러 ($7.94 trillion, 한화 8900조) 규모

 

 

source : fred.stlouisfed.org (https://fred.stlouisfed.org/series/WALCL)

 

 

 

● 양적완화(QE) 및 금리 관련 참고 영상

 

'양적 완화'는 왜 등장했을까? - Youtube 슈카월드

 

 

미국 2조 달러 경기부양책! 하늘에서 돈다발이 쏟아진다? - Youtube 슈카월드

 

 

인플레이션 공포와 기준금리 인상의 우려 - Youtube 슈카월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