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계좌대체 (計座對替, book-entry delivery)
용어정의
중앙예탁기관에 계좌를 설정한 계좌 설정자간의 유가증권 수수를 실물증권의 인수도 대신 계좌간 대체하는 방식으로 장부상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주식 채권 등 증권거래의 결과 매도자의 증권을 매수자에게 이전해야 한다. 그런데 증권의 이전을 위한 실물증권의 인도 방식은 자본시장에서 이루어지는 증권의 대량거래와 잦은 소유자 변동 등을 감안하면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중앙예탁기관의 계좌대체 방식으로 증권의 소유권을 이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한국예탁결제원이 계좌간 대체 방식으로 증권결제를 수행하고 있다. 계좌대체는 예탁자의 개별적 청구 또는 시장 참가자간의 사전 약정에 따른 결제기관의 청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우리나라 상법 에서는 증권거래에 따른 증권의 소유권 이전을 위해 해당증권을 교부하도록 하고 있고, 자본시장법 에서 예탁자계좌부에 증권의 양도를 목적으로 계좌간 대체의 기재를 한 경우 증권의 교부가 있었던 것으로 본다는 교부의제 규정을 두고 있다.
개요
- 증권이나 자산 거래에서 중앙예탁기관(Central Securities Depository, CSD) 또는 금융기관 간 계좌 기록 방식으로 증권 소유권을 이전하는 방식입니다.
- 실물 증권(Physical Securities)을 주고받는 대신, 전산 시스템 상에서 장부 기록으로 소유권이 이전됩니다.
- 주식, 채권 등 유가증권 거래와 관련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결제 방식
- 필요성
- 증권 시장의 특성: 대량 거래와 소유권 변경이 잦은 현대 증권 시장에서는 실물 증권을 이전하는 방식은 비효율적이며 위험함. (예: 실물 증권의 분실, 도난, 위조 등 물리적 문제)
- 효율적 결제 시스템: 계좌대체는 전자적 기록으로 소유권을 관리하고 이전하여 시간과 비용 절감. 금융 거래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보장.
- 국제 표준화: 대부분 국가가 중앙예탁기관의 계좌대체 방식을 채택하여 글로벌 거래에서도 통일된 방식으로 운영
- 주요 특징
- 효율성: 실물 증권의 물리적 이동이 없으므로 대량 거래를 신속히 처리 가능.
- 안전성: 실물 증권의 분실, 위조, 도난 등의 위험을 제거.
- 비용 절감: 종이 증권 발행, 보관, 이동과 관련된 비용 감소.
- 국제적 호환성: SWIFT 메시징 시스템, ISIN 코드 등 국제 표준에 기반하여 글로벌 금융 시스템과 통합 가능.
- 활용 사례
- 증권 거래소 결제: 한국의 KOSPI 및 KOSDAQ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주식 및 채권 거래.
- 국제 증권 결제: 유로클리어(Euroclear), 클리어스트림(Clearstream) 등의 국제 중앙예탁기관과 연계된 거래.
- 펀드 및 파생상품 결제: 증권 외에도 다양한 금융상품의 소유권 관리에 계좌대체 방식이 적용
- 장점
- 실물 증권의 물리적 위험 제거.
- 대량 거래 처리 효율성 증가.
- 비용 절감과 투명성 확보.
- 단점
- 기술 의존도가 높아 전산 시스템 장애 시 리스크 발생.
- 투자자는 실물 증권을 직접 보유하지 못해 심리적 불안감을 가질 수 있음.
계좌대체 처리 과정
1) 거래 발생
- 매도자와 매수자가 증권 거래를 체결.
- 거래 정보가 금융기관을 통해 중앙예탁기관으로 전달.
2) 장부 기록 업데이트
- 중앙예탁기관이 매도자의 계좌에서 증권을 차감하고, 매수자의 계좌에 증권을 추가.
3) 자금 결제와 연동
- DvP(Delivery versus Payment) 방식으로, 증권 소유권 이전과 자금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짐.
4) 결제 완료 통지
- 거래 당사자들에게 소유권 이전 완료 결과를 통보.
한국의 계좌대체 시스템
1) 한국예탁결제원(KSD)
- 중앙예탁기관으로서 한국 내 증권 거래의 계좌대체와 결제를 담당.
- 모든 주식, 채권, 펀드 등의 유가증권 거래에서 계좌대체 방식을 적용.
2) DvP(Delivery versus Payment): 증권과 자금의 동시 결제 시스템을 운영하여 결제 리스크를 최소화.
3) 전자증권제도: 실물 증권 발행을 최소화하고 전자적 기록 방식으로 소유권 관리.
References
-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 한경 경제용어사전
- 국가통계포털: 계좌대체현황(주식) / 계좌대체현황(채권)
- 한국예탁결제원: https://www.ksd.or.kr/ko/
- 위키피디아: Book Entry
- Investopedia: Book-Entry (or Paperless) Securities
반응형
'Financial Story > 경제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고용률 (雇傭率, Employment-to-Population Ratio) (1) | 2025.01.17 |
---|---|
[경제금융용어] 고객확인절차 (KYC, Know Your Customer) (1) | 2025.01.17 |
[경제금융용어] 계절변동조정시계열 (Seasonal Adjustment or Seasonally Adjusted Time Series) (0) | 2025.01.16 |
[경제금융용어] 경직적 물가지수 (Sticky Price Index) (1) | 2025.01.15 |
[경제금융용어] 경제후생지표 (MEW, Measure of economic welfare) (1)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