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ial Story/경제금융용어

[경제금융용어] 경기조절정책/경제안정화정책 (Business adjustment policy/Stabilization policy)

반응형

경기조절정책/경제안정화정책 (Business adjustment policy/Stabilization policy)

 

용어정의

경기조절정책(business adjustment policy) 또는 경제안정화정책(stabilization policy)은 경기가 지나친 확장 또는 수축 현상을 보일 경우 이를 정상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해 정책당국이 취하는 제반 조치를 말한다. 이는 정책당국이 경제 전체의 총수요 수준을 변동시킴으로써 경기 수위를 조절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실제 운영에 있어서는 정부지출과 세율을 조정하는 재정정책이 이용되거나 통화량과 금리 수준을 조절하는 통화정책이 활용된다. 즉 경기가 정상수준을 큰 폭 밑도는 불황에 직면하게 될 경우 정부는 재정지출을 늘리거나 조세를 줄이는 재정정책 수단을 동원한다. 한편 중앙은행은 통화량을 늘리거나 금리를 내리는 정책수단을 활용한다. 이와는 반대로 경기가 지나치게 과열될 경우 정책당국은 재정측면에서는 정부지출을 줄이거나 조세를 늘리고, 통화측면에서는 통화량을 줄이거나 금리를 올리는 조치를 취한다.

 

개요

  • 경기조절정책(Business Adjustment Policy): 경제 활동의 단기 변동을 완화하여 경제의 안정성을 높이는 정책
  • 경제안정화정책(Stabilization Policy): 경제적 불안정성(인플레이션, 실업, 경기 변동 등)을 완화하고, 경제를 장기적 성장 경로에 맞게 조정하기 위한 거시경제 정책.
  • 주로 재정정책(Fiscal Policy)통화정책(Monetary Policy)를 통해 수행
  • 목적
    • 경제 안정화: 경기 과열 시 인플레이션 억제. 경기 침체 시 실업률 감소 및 경제 회복 지원.
    • 경제 성장 지원: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 환경 조성.
    • 불확실성 감소: 경제 주체(소비자, 기업)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투자와 소비를 촉진.
  • 경기조절정책의 도전과제
    • 정확한 경기 진단: 경제 상황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예측 필요.
    • 국제 협력: 글로벌 경제와 연계된 정책은 국제적 조정이 필수.
    • 균형 잡힌 접근: 경기 회복과 물가 안정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 유지.
  • 장점
    • 경제 안정화: 경기 변동성을 줄이고 경제를 정상 궤도로 조정.
    • 사회적 신뢰 증대: 경제 안정화는 기업과 소비자의 신뢰를 높이고 장기적 투자 유도.
    • 경제 성장 촉진: 침체기에는 경제 회복, 과열기에는 인플레이션 억제.
  • 단점
    • 정책 시차(Time Lag): 정책이 실행되고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걸림.
    • 정치적 제약: 정치적 요인에 의해 재정정책이 남용될 위험.
    • 과잉 대응: 과도한 정책 조치가 오히려 경제에 충격을 줄 가능성.
  • 주요 정책 사례
    • 미국
      • 대공황(1930년대): 뉴딜정책(New Deal)과 같은 대규모 정부 지출을 통해 경제 회복을 지원.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대규모 경기부양책(Stimulus Packages)과 금리 인하.
    • 한국
      • 외환위기(1997): IMF와 협력하여 긴축 정책과 구조 조정을 병행.
      • 코로나19 팬데믹(2020):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기준금리 인하, 기업 유동성 지원.
    • 유럽연합(EU)
      • 유럽 재정 협약: 안정성장협약(Stability and Growth Pact)을 통해 재정 건전성 유지.

 

주요 정책 수단

1) 재정정책 (Fiscal Policy)

  • 정부의 세금과 지출을 조정하여 경기를 조절.
  • 경기 침체 시: 정부 지출 증가 (예: 공공사업, 사회복지 지출). 세율 인하 → 소비와 투자 촉진.
  • 경기 과열 시: 정부 지출 축소. 세율 인상 → 과도한 소비 억제.

2) 통화정책 (Monetary Policy)

  • 중앙은행의 이자율 조정과 통화량 관리를 통해 경제 안정화.
  • 경기 침체 시: 금리 인하 → 대출 증가, 투자 활성화. 통화량 확대 → 유동성 공급.
  • 경기 과열 시: 금리 인상 → 대출 감소, 소비 억제. 통화량 축소 → 과잉 유동성 억제.

 

정책 유형

1) 경기 확장 정책 (Expansionary Policy)

  • 목적: 경제 활동 활성화.
  • 수단: 정부 지출 증가, 세율 인하, 금리 인하, 통화량 확대.
  • 적용 상황: 경기 침체, 실업 증가, 수요 부족.

2) 경기 억제 정책 (Contractionary Policy)

  • 목적: 과열 경제 억제 및 물가 안정.
  • 수단: 정부 지출 축소, 세율 인상, 금리 인상, 통화량 축소.
  • 적용 상황: 인플레이션, 과도한 수요 증가.

3) 자동안정화장치 (Automatic Stabilizers)

  • 경기 변동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는 메커니즘.
  • 예: 경기 침체 시 실업급여 증가 → 소비 감소 방지. / 경기 확장 시 누진세로 세수 증가 → 과잉 소비 억제.

 

References

    1.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2. 한경 경제용어사전
    3. 한국은행: 경제안정화정책이란?
    4.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https://eiec.kdi.re.kr/material/clickView.do?click_yymm=201110&cidx=1596
    5. 위키피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Stabilization_policy
    6. Investopedia: https://www.investopedia.com/terms/s/stabilization-policy.asp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