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ial Story/경제금융용어

[경제금융용어] 가계순저축률 (Household Net Savings Rate)

반응형

 

가계순저축률 (Household Net Savings Rate)

 

용어정의

일반적으로 저축률은 저축액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가계순저축률은 가계부문의 순저축액을 가계순처분가능소득과 정부로부터 받은 사회적 현물이전 금액,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을 합계한 금액으로 나눈 비율이다. 여기서 사회적 현물이전(social transfer in kind)이란 정부 등이 가계에 현물이전의 형태로 제공하는 재화 및 서비스로서 무상교육, 보건소의 무상진료 등이 해당된다. 또한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을 분모에 더하는 이유는 퇴직연금 등과 같이 가계가 납부한 연금부담금과 연금수취액의 차액을 반영해야 가계부문의 저축액을 정확히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계순저축률은 가계부문의 저축성향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산출방식

가계순저축률(%)

= { 가계부문순저축 / ( 가계순처분가능소득 + 사회적현물이전수취 + 연금기금의가계순지분증감조정 ) } × 100

= (가계 순저축 / 가계 순처분가능소득) × 100

 

개요

  • 가계순저축률은 가계의 순저축액이 가계의 순처분가능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가계의 저축 성향과 재정 건전성을 평가하는 데 활용됨
  • 구성요소
    • 가계 순저축액 : 가계의 총소득에서 소비지출과 비소비지출(세금, 사회보험료 등)을 제외한 금액
    • 가계 순처분가능소득 : 가계가 자유롭게 소비와 저축에 사용할 수 있는 소득. 총소득에서 세금 및 사회보험료 등을 제외한 금액
  • 중요성
    • 경제 성장 : 저축은 투자 자금의 원천이 되어 경제 성장에 기여함
    • 가계 재정 안정성 : 높은 저축률은 가계의 재정적 안정을 높이고, 비상 시 대비할 수 있는 재원을 마련함
    • 정책 수립 : 정부는 가계순저축률을 참고하여 경제 정책을 수립하고, 소비 촉진 또는 저축 장려 정책을 조정할 수 있음.
  • 대한민국 가계순저축률 최근동향 : 1990년대 약 20% 수준에서 2000년대 들어 10% 미만으로 하락하였으며, 2023년 약 4.0%로 낮아졌음. 이는 가계의 소비 성향이 높아졌음을 의미함.

 

대한민국 가계저축률 

국가지표체계 가계저축률 : https://index.go.kr/unify/idx-info.do?idxCd=5053&

 

References

  1.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2. 한경 경제용어사전
  3. 국가지표체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