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감응도계수 (感應度係數,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 전방연쇄효과)
용어정의
생산유발계수를 이용하여 각 산업 간의 상호의존관계의 정도를 전산업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크기로 표시한 것이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이다. 전방연쇄효과는 감응도계수를 이용하여 파악한다. 감응도계수는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각각 한 단위씩 증가하였을 때 어떤 산업이 받는 영향, 즉 전방연쇄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전산업 평균에 대한 상대적 크기로 나타내는 계수로서 그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행의 합계를 전산업의 평균으로 나누어 구한다. 철강을 예로 든다면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이 한 단위 증가하였을 때 철강 품목의 생산을 유발하는데, 감응도계수란 이때
철강의 생산유발의 정도를 전산업 평균과 비교한 것으로 철강에서의 생산유발의 정도를 전산업 평균으로 나누어 구한다. 따라서 석유정제와 같이 그 제품이 각 산업 부문에 중간재로 널리 사용되는 산업일수록 감응도계수가 크다.
산출공식
감응도계수 (Elasticity Coefficient) = 종속변수의 상대적 변화율 / 독립변수의 상대적 변화율 = 각 산업의 생산유발계수 합 / 전 산업평균
- 해석
- > 1: 탄력적 - 독립변수 변화에 종속변수가 민감하게 반응.
- = 1: 단위 탄력적 - 독립변수 변화가 종속변수에 동일한 비율로 영향을 미침.
- < 1: 비탄력적 - 독립변수 변화에 종속변수가 덜 민감하게 반응.
개요
-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한 단위씩 발생할 때 어떤 산업이 받는 영향을 계수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생산유발계수표를 이용하여 각 산업간의 상호의존관계의 정도를 알아보는 기준으로, 영향력계수(影響力係數, impact factor)에 상대되는 개념이다.
- 각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행(行)합계를 전 산업평균으로 나누어 구하는데, 전방연쇄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전 산업평균에 대한 상대적 크기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석유제품과 같이 각 산업부문에 중간재로 널리 사용되는 산업일수록 수치가 크다.
- 이에 비해 영향력계수는 어떤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한 단위 발생할 때 전 산업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계수로 나타낸 계수를 말한다. 후방연쇄효과의 정도를 전 산업평균에 대한 상대적 크기로 나타낸 계수로, 각 산업 생산유발계수의 열합계를 전 산업평균으로 나누어 구한다. 일반적으로 생산유발 효과가 큰 산업부문일수록 영향력계수가 커진다.
- 장점
- 정량적 평가: 변수 간 관계를 숫자로 표현하여 분석의 명확성을 높임.
- 의사결정 지원: 정책 변화 또는 경제적 변동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시뮬레이션에 유용.
- 다양한 분야 적용 가능: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문제를 분석하는 데 활용
- 단점
- 선형 관계 가정: 비선형 관계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음.
- 데이터 의존성: 데이터 품질 및 정확성에 따라 결과가 크게 좌우될 수 있음
산업별 감응도계수
References
-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 두산백과 두피디아
반응형
'Financial Story > 경제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갑기금 (capital A) (0) | 2025.01.04 |
---|---|
[にほんご] 일본어 키보드 설정 및 자판 (0) | 2025.01.03 |
[경제금융용어] 감독자협의회 (Supervisory Council) (0) | 2025.01.03 |
[경제금융용어] 간접세/직접세 (Indirect tax, Direct tax) (2) | 2025.01.02 |
[경제금융용어] 간접금융/직접금융 (Indirect financing, Direct financing) (2) | 2025.01.02 |